무상태

Spring/모든 개발자를 위한 HTTP 웹 기본 지식

[모든 개발자를 위한 HTTP 웹 기본 지식] 03. HTTP 기본 - Stateful, Stateless

(인프런) 김영한님의 모든 개발자를 위한 HTTP 웹 기본 지식을 공부하고 리뷰한 글입니다. 3. Stateful, Stateless 1. 무상태 프로토콜(Sateless) 서버가 클라이언트의 상태를 보존X - 장점: 서버 확장성 높음(스케일 아웃) - 단점: 클라이언트가 추가 데이터 전송 2. Stateful, Stateless 차이 2- 1. 상태 유지 - Stateful 1) 상태 유지 - Stateful 2) 상태 유지- Stateful, 점원이 중간에 바뀌면? 3) 상태유지 - Stateful, 정리 2-2. 무상태 - Stateless 1) 무상태 - Stateless 2) 무상태 - Stateless, 점원이 중간에 바뀌면? 1) 상태 유지 - 중간에 다른 점원으로 바뀌면 안된다. (중간에 ..

Spring/스프링 핵심 원리 - 기본편

[스프링 핵심 원리] 05. 싱글톤 컨테이너 - 싱글톤 컨테이너 & 싱글톤 방식의 주의점(중요★)

(인프런) 김영한님의 스프링 핵심 원리-기본편을 공부하고 리뷰한 글입니다. 3. 싱글톤 컨테이너 스프링 컨테이너는 싱글톤 패턴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객체 인스턴스를 싱글톤(1개만 생성)으로 관리한다. 지금까지 우리가 학습한 스프링 빈은 싱글톤으로 관리되는 빈이다. 1. 싱글톤 컨테이너 - 스프링 컨테이너는 싱글톤 패턴을 적용하지 않아도 객체 인스턴스를 싱글톤으로 관리한다. - 스프링 컨테이너는 싱글톤 컨테이너 역할을 하고 싱글톤 객체를 생성, 관리하는 기능을 싱글톤 레지스트리라고 한다. - 스프링 컨테이너는 싱글톤 패턴의 모든 단점을 해결하면서 객체를 싱글톤으로 유지할 수 있다. 싱글톤 패턴을 위한 지저분한 코드X DIP, OCP, 테스트, private 생성자로부터 자유롭게 자유롭게 싱글톤 사용O 2. ..

HSY_mumu
'무상태' 태그의 글 목록